제77주년 여순사건(여수·순천 10·19사건)을 맞아 이재명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리가 각각 SNS 메시지와 공식 추념식 발언을 통해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위로를 전하고, 국가 차원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번 발언은 정부가 과거사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화해와 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겠다는 신호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국가 폭력의 진실 끝까지 규명하겠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19일 자신의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여순사건 77주년을 추모하며, “다시는 국가 폭력으로 인한 무고한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은 글에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드시 역사를 바로잡겠다”며, 2021년 제정된 여순사건 특별법에 따라 진상규명과 책임 있는 조치를 약속했습니다.
이재 대통령은 또 “여순사건은 한국 현대사의 아픈 상처이며, 희생자와 유가족의 고통을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언론은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이 국가의 공식적 책임 인식을 다시 확인하는 계기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추모를 넘어 정부가 과거사 청산의 속도를 높이겠다는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김민석 총리, “여순사건은 아직 끝나지 않은 역사입니다”
같은 날 열린 여순사건 77주년 추념식에는 김민석 국무총리가 참석했습니다.
김 총리는 추념사에서 “여순사건은 우리 현대사의 깊은 상처이며 아직 끝나지 않은 역사입니다”라며 발언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이념의 굴레 속에서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을 바라는 유족들의 절절한 호소를
온전히 풀어드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김 총리는 “정부는 진상조사기획단을 통해 여순사건의 진실을 낱낱이 규명하고,
희생자와 유가족 심사를 정해진 기한 내에 마무리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된다”는 말을 덧붙이며
“여순의 비극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정부가 앞장서서 화해와 통합의 길을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총리는 끝으로 “이제는 국가가 과거를 바로잡고,
유가족의 고통을 치유할 차례”라며 “여순사건이 더 이상 지역의 비극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역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여순사건(여수·순천 10·19사건)은 무엇입니까?
여순사건은 1948년 10월 19일, 전라남도 여수에 주둔한 국방경비대 제14연대 일부 병력이 제주 4·3 진압 명령을 거부하면서 발생한 군 반란 사건입니다.
정부의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했고, 사건 이후 오랫동안 피해자들은 “빨갱이 가족”이라는 낙인 속에서 고통받았습니다.
2021년 제정된「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은 국가가 처음으로 여순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법적으로 약속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현재 진상규명위원회가 관련 자료를 조사 중이며, 정부는 명예회복·보상·공식 사과 등의 절차를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순사건이 던지는 오늘의 메시지
여순사건은 단순히 과거의 비극이 아니라, 이념의 갈등이 초래한 국가 폭력과 인권 침해의 교훈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번 77주년을 맞아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발언이 함께 이어진 것은 과거를 되짚고, 진실을 바로잡으며, 국민 통합의 계기를 만들겠다는 국가적 의지의 표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약속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실질적 결과로 이어질 때, 비로소 여순사건은 ‘끝나지 않은 역사’에서 ‘바로잡힌 역사’로 기록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