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YTN 기자 통화 논란…국감서 노종면 의원 녹취록 공개
최근 국정감사장에서 노종면 정의당 의원이 김건희 여사와 YTN 기자 간 통화 녹취록을 공개하면서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다.
이번 논란은 언론의 독립성과 권력의 언론 개입 의혹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는 계기가 됐다.
김건희·YTN 기자 통화 내용, 어떤 말이 오갔나?
노종면 의원이 공개한 통화 녹취록에는 김건희 여사가 특정 기자에게 직접 연락해 보도 방향에 영향을 미친 정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녹취록에 따르면 김건희 여사는 기자에게 “그건 기사로 내지 말라” “남편(윤석열 대통령)한테 불리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노종면 의원은 “대통령 배우자가 언론인에게 직접 전화해 보도 통제를 시도했다면, 이는 명백한 언론 자유 침해이자 국기 문란 행위”라고 지적했다.
YTN 측 반응과 정치권의 파장
YTN 측은 “통화 사실은 있었으나, 보도 통제 의도는 없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야권에서는 “대통령실과 YTN 간의 관계를 다시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김건희 여사의 언론 개입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반면 여권에서는 “사적인 통화 일부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야권의 공세를 ‘정치적 의도’로 몰았다.
언론 자유 vs 권력 개입…논란의 본질은?
이번 논란의 핵심은 단순한 통화 여부가 아니라, 대통령 배우자의 언론 개입 가능성이다.
전문가들은 “언론인과 권력자의 관계가 비정상적으로 얽히면, 언론의 감시 기능이 마비된다”며 우려를 표했다.
또한 일부 시민단체는 대통령실의 공식 해명과 녹취록 전체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국민 여론 “언론 통제 의혹, 철저히 밝혀야”
여론은 엇갈리고 있다. 일부는 “녹취록 전문을 공개해야 진실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또 다른 쪽에서는 “사적 통화까지 정치적 공격 도구로 삼는 건 과하다”고 반응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김건희 여사 관련 논란이 반복된다”,
“언론과 권력의 거리 두기가 필요하다”는 등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반복되는 ‘김건희 리스크’, 해명과 투명한 공개가 해답
이번 YTN 기자 통화 논란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다.
언론 자유, 권력 감시, 대통령 배우자의 공적 역할이라는 핵심 가치가 충돌하는 사건이다.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투명한 해명과 녹취록 공개만이 논란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